학교에서 반장 선거나 회장 선거로 인한 투표는 이미 학창시절 많이들 접해보셨을 것입니다. 주민등록증을 발급받고 국가적으로 성인으로 인정받아 국가에서 실시하는 선거에 처음으로 투표에 나선 학생들로썬 투표소를 방문해 투표를 한다는것이 여간 어색하지 않을 수 없을것입니다. 블로그 지기가 성인이되고 첫 선거를하러 투표소로 향하던 때가 기억나네요. 앞으로 4년(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간 이 나라를 이끌어 나갈 300명의 국회의원이 선임되는 4월 11일 그간 갖지 못했던 투표권을 처음으로 얻은 이날,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인투표를 하지 않으면 안되겠죠! 지금부터 내생애 첫 국회의원 선거 투표에 나서는 학생들을 위해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 대한 안내를 잠깐 해보도록 할께요. ■ 투표시간: 2012년 4월 11일(수) 오전 6시~오후 6시까지 ■ 지참물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관공서ㆍ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지참 ■ 투표절차: 투표소 입소 > 본인여부 확인(선거인명부 서명이나 날인 또는 무인) > 투표용지 수령 > 기표소에서 기표 > 투표지 투표함 투입 > 퇴소 ① 본인확인하는 곳 : 신분증을 제시하고 선거인명부에 서명을 합니다. ② 투표용지 받는곳 : 투표용지2매(지역구, 비례대표)를 받습니다.
③ 기표소 : 기표소에 비치된 용구로 투표용지마다 각각 하나의 정당 또는 후보자에게 기표합니다. ④ 투표함 : 기표내용이 보이지 않게 하여 투표지 2장을 한꺼번에 투표함에 넣고 나갑니다. * 투표소 내에 투표참관인석이 마련되어 있는데, 각 정당, 각 후보자 측에서 세운 투표참관인으로 투표가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분들입니다. ■ 투표시 주의사항 -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명서(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공무원증,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자격증,장애인등록증, 국가유공자증, 학생증 등 사진이 붙은 신분증)가 있어야 투표할 수 있습니다. - 하나의 정당과 후보자란에만 기표해야 합니다. ■ 투표용지 접는 방법 간혹, 투표를 하였는데 투표용지를 잘못 접어 둘 이상의 후보자란에 표시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투표용지 어떻게 접어야 내 소중한 한표가 제대로 접수될 수 있을지 동영상으로 함께 살펴보도록 할께요 ^^ 투표일 신분증이 없는 분들은 주민등록증 분실자 본인이 6개월 이내 찍은 본인 확인 가능한 사진2매를 가지고 동주민센터를 방문하시면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을 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
최근 덧글